개발 수업/Spring Boot

[SpringBoot] 서버 환경설정/H2 Database사용하기

오늘 하루s 2023. 8. 22. 19:52
728x90
더보기

Day79. 230822

서버 환경설정

 
프로퍼티 설정은 application.properties파일과 application.yml파일 2가지 방식으로 설정가능하다.
이때 들여 쓰기에 주의해 준다.
 
application.properties>

#서버설정
server.port=8090
server.servlet.context-path=/
server.servlet.encoding.charset=UTF-8

 
application.yml>

#서버설정
server:
  port: 8090
  servlet:
    context-path: /
    encoding:
      charset: UTF-8

 
 
MainController>

package com.mycom.app;
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ll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ponseBody;

@Controller
public class MainController {

    @GetMapping("/")
    @ResponseBody
    public String index(){
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ln("index");
        return "index"; //화면에 text출력
    }
}

 

application 실행한 후 localhost:8090 요청주소를 불러주면 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.
 


H2 Database사용하기

H2는 자바로 작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.
 
build.gradel>

dependencies {
	runtimeOnly 'com.h2database:h2'
}

dependencies에 runtimeOnly 'com.h2 database:h2' 이 없다면 추가해 준다.
 
 
application.properties>

#Database
spring.h2.console.enabled=true
spring.h2.console.path=/h2-console
spring.datasource.url=jdbc:h2:~/local
spring.datasource.driverClassName=org.h2.Driver
spring.datasource.username=sa
spring.datasource.password=

application.properties파일에 다음을 추가해 준다.
 
 
local.mv.db추가

메모장을 이용해 위치 : C:\springBootWK_ij\app(프로젝트가 있는 경로), 파일이름 : local.mv.db, 파일형식 : 모든 파일로 저장해 준다.

 
 
H2 Console접속
http://localhost:8090/h2-console로 검색하면 H2에 접속할 수 있다.

Test Connection을 눌러 Test successful이 나오면 H2를 사용할 수 있다.
 

Connect를 눌러주면 다음과 같이 H2 Console를 확인할 수 있다.
나중에 테이블이 추가되면 결과를 볼 수 있다.
 

728x90